# IPA
> IPA(International Phonetic Alphabet, 국제 음성 기호)는 세계 각국의 언어에서 사용되는 말소리를 표기하기 위해 고안된 체계입니다. 세계 각국의 말소리를 표기하기 위해 고안된 음성기호기 때문에, IPA는 언어의 소리를 객관적이고 체계적으로 표현하는 데 크게 기여하고 있습니다.
---
## IPA란?
IPA*International Phonetic Alphabet*는 현존하는 모든 언어의 말소리*Phone*를 표현하는 표준적인 방법이며, 언어학에서 주로 사용하는 음성 기록 체계다.
IPA를 구성하는 요소는 크게 기본 문자*Letter*, 기본 문자에 붙이는 구별기호*Diacritic*, 그리고 초분절요소*Suprasegmental Quality*로 나눌 수 있는데, 이는 IPA가 소리를 표현하기 위해 기본 문자에 구별기호를 결합하고 초분절요소를 추가하는 방식으로 말소리를 나타내기 때문이다. 말소리를 구분할 때는 이와 다른 기준으로 구분한다.
## 말소리의 구분
말소리는 크게 자음*Consonant*, 모음*Vowel*, 그리고 초분절음소*Suprasegmental*로 구분하고 생성 원리에 따라 발성 유형*Airstream Mechanism* , 조음 위치*Place of Articulation*, 조음 방법*Manner of Articulation*등을 기준으로 세분화된다.
### 발성 유형
인간의 말소리는 기류*Airflow*를 통해 만들어진다. 기류를 일으키는 신체의 부분에 따라 총 세가지 기류가 존재하는데, 폐에서 만들어지면 ==Pulmonic==, 성문*Glottis*으로 만들어지면 ==Glottalic==, 연구개*Velum*로 만들어지면 ==Velaric==이다. 여기에 더해 발성할 때 공기가 흐르는 방향에 따라 몸 안으로 들어오면 ==Ingressive==, 몸 바깥으로 나오면 ==Egressive==라고 부른다.
따라서 인간의 말소리는 기류의 세가지 기원(Pulmonic, Glottalic, Velaric)과 두가지 방향(Ingressive, Egressive)에 의해 총 여섯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 | Pulmonic | Glottalic | Velaric |
| :--------: | :---------: | :------------: | :--------: |
| Egressive | 대부분의 말소리 | 방출음*Ejective* | - |
| Ingressive | 일부 비음화된 흡착음 | 내파음*Implosive* | 흡착음*Click* |
+ 방출음*Ejective*은 성문에서 시작해*Glottalic* 공기를 내보내고*Egressive*, 내파음*Implosive*은 반대로 공기를 흡입한다*Ingressive*.
+ 연구개에서 시작하는*Velaric* 소리에는 흡착음*Click*이 있는데, 공기를 항상 흡입한다*Ingressive*. 반대로 연구개에서 공기를 내보내는 소리는 현재까지 발견되지 않았다.
+ 세상에 존재하는 대부분의 말소리는 폐에서*Pulmonic* 나오는*Egressive* 기류에 해당하며, 헐떡이는 소리처럼 일부 흡착음은 연구개가 아닌 폐에서 생기기도 한다.
## IPA 해석하기
이제 본격적으로 표를 살펴볼 때가 됐다. 앞서 살펴본 문자의 구성 요소와 말소리의 구성 요소를 기준으로 전체 표를 나눌 수 있다.
![[IPATable.jpg]]
### Letters
IPA를 구성하는 대부분의 기본 문자들은 자음과 모음 표에 있다. 말소리를 느슨하게 나눌 때 일반적으로 자음*Consonants*과 모음*Vowels*으로 나눈다.
#### Consonants
자음이란 기류가 조음 기관의 방해를 받아 나는 소리다. 조음 방법은 방해가 발생하는 방식이며, 조음 위치는 방해가 발생하는 위치다. 폐에서*Pulmonic* 나오는*Ejective* 기류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폐에서 시작하는 소리*Pulmonic*와 그렇지 않은 소리*Non-pulmonic*를 나눈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 Pulmonic
전체 표의 맨 위에 있는 이 영역은 모두 폐에서 생기는 소리이며, 가로 축은 조음 위치, 세로 축은 조음 방법이다. 여기에 있는 각 기호의 명칭은 해당 기호의 조음 위치와 조음 방법의 결합이다. 예를 들어 \[ʂ]의 정식 이름은 무성 권설 마찰음*Voiceless Retroflex Fricative*이다.
또한, 같은 위치에서 같은 방법으로 소리를 내더라도 성대의 울림에 따라 유성음*Voiced Sound*와 무성음*Voiceless Sound*이 구별되는데, 이때는 유성음이 오른쪽에 오도록 두 모음을 한 칸에 넣는다.
마지막으로 회색으로 색칠된 칸은 해당하는 조음 위치와 조음 방법의 결합이 불가능하다고 판단되는 곳이다.
###### 조음 방법
파찰음*Affricate*처럼 표에 등장하지 않는 경우를 제외한 나머지 조음 방법만을 다룬다.
+ 폐쇄음*Plosive*
+ 파열음이라고도 하며, 공기의 흐름이 완전히 차단되었다가 순식간에 풀리고 공기가 폭발하듯 나아간다.
+ 비음*Nasal*
+ 비강*Nasal Cavity*의 진동을 통해 소리가 만들어진다.
+ 전동음*Trill*
+ 조음 기관의 격렬한 진동을 통해 소리가 만들어진다.
+ 탄설음*Tap or Flap*
+ 조음 기관이 빠르게 붙었다 떨어지며 소리가 만들어진다.
+ 마찰음*Fricative*
+ 공기의 흐름이 받던 방해가 서서히 풀리는 과정에서 소리가 만들어진다.
+ 설측 마찰음*Lateral Fricative*
+ 기본적으로 마찰음에 속하는 만큼 공기의 흐름은 마찰음과 같지만, 발음할 때 혀의 모양으로 인해 공기가 혀의 양 끝으로 흘러간다.
+ 접근음*Approximant*
+ 공기의 흐름이 완전히 막히진 않고 조금만 방해 받는다.
+ 설측 접근음*Lateral Approximant*
+ 공기의 흐름은 접근음과 같지만, 발음할 때 혀의 모양으로 인해 공기가 혀의 양 끝으로 흘러간다.
###### 조음 위치
조음 방법과 마찬가지로 표에 등장하지 않는 경우를 제외한 나머지 조음 위치만을 다룬다.
+ 양순음*Bilabial*
+ 양 입술로 내는 소리다.
+ 순치음*Labiodental*
+ 아랫입술과 윗니로 내는 소리다.
+ 치음*Dental*
+ 설첨전음이라고도 하며, 혀끝과 윗앞니로 내는 소리다.
+ 치경음*Alveolar*
+ 설첨중음이라고도 하며, 혀끝과 윗잇몸(alveolar ridge, 치경)으로 내는 소리다.
+ 후치경음*Postalveolar*
+ 후치경음은 혀끝과 치경 바로 뒤쪽 영역을 통해 만들어진다.
+ 권설음*Retroflex*
+ 설첨후음 혹은 교설음이라 부르기도 하며, 혀끝과 치경 뒷부분으로 내는 소리다.
+ 경구개음*Palatal*
+ 설면음이라고도 하며, 경구개와 설면(전설)로 내는 소리다.
+ 연구개음*Velar*
+ 설근음이라고도 하며, 연구개와 혀몸(후설)로 내는 소리다.
+ 구개수음*Uvular*
+ 혓바닥과 목젖*Uvula*으로 내는 소리다.
+ 인두음*Pharyngeal*
+ 음식물을 삼킬 때 음식물이 넘어가는 구멍인 인두*Pharynx*를 이용한 소리다.
+ 성문음*Glottal*
+ 성대 사이의 공간인 성문*Glottis*을 이용한 소리다.
##### Non-pulmonic
Pulmonic 이외의 자음은 조음 방식에 따라 흡착음, 유성 내파음, 방출음으로 분류하고 있다.
+ 흡착음*Click*
+ 연구개에서 시작해*Velaric* 공기를 안으로 빨아들이는*Ingressive* 소리다.
+ 유성 내파음*Voiced Implosive*
+ 성문을 이용해 공기를 빨아들이며 내는 소리*Implosive*이며, 유성음*Voiced*이기 때문에 이때 성대의 떨림이 동반된다.
+ 방출음*Ejective*
+ 내파음처럼 성문에서 시작하지만, 반대로 공기를 내보내며*Egressive* 소리를 낸다.
#### Vowels
모음은 자음과 달리 공기가 조음 기관의 방해를 받지 않는다. 오직 조음 기관의 모양 차이에 의해 소리가 달라지며, 조음 기관의 모양 차이는 입의 모양과 혀의 위치에 의해 결정된다. 모음이 자음과 달리 분리되지 않은 것은 모음의 발성이 폐가 아닌 다른 곳에서 시작할 수 없고, 속삭임과 같은 특수한 상황을 제외하면 모든 모음이 유성음이기 때문이다.
##### Front ↔ Back
모음 표의 가로 축은 발음할 때 혀가 위치하는 곳을 나타낸다. 그 위치가 입에 가까우면 전설*Front*이고, 반대로 뒷머리와 가까우면 후설*Back*이다.
+ 전설*Front*
+ 중설*Central*
+ 후설*Back*
##### Close ↔ Open
모음 표의 세로 축은 발음할 때 입이 열려있는 정도를 나타낸다.
+ 폐*Close*
+ 반폐*Close-mid*
+ 반개*Open-mid*
+ 개*Open*
그러나 이 기준을 엄격하게 따르는 언어는 몇 없을 뿐더러 아래와 같이 발음할 때 혀의 높이를 기준으로 세 단계로 구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 고모음*High*
+ IPA 표준에서 폐모음*Close*에 해당한다.
+ 중모음*Mid*
+ IPA 표준에서 반폐모음*Close-mid*과 반개모음*Open-mid*에 해당한다.
+ 저모음*Low*
+ IPA 표준에서 *Open*에 해당한다.
##### 입술의 모양
입술을 동그랗게 만들고 발음해야 하는 원순음*Rounded Vowel*은 그렇지 않은 다른 모음과 위치가 겹치는데, 표에서는 겹치는 모음을 짝으로 묶고[^1] 원순음을 오른쪽에 두고 있다.
[^1]: ![[RVPair.png]]
### Diacritics
구별 기호*Diacritic*는 발음의 변형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하는 보조 기호다. 구별 기호를 통해 기본 문자로는 표현하기 어려운 음성의 차이를 기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b]와 \[p]의 구분이 없고 'ㅂ, ㅍ, ㅃ'의 기본 발음인 \[p], \[pʰ], \[pʼ]이 모두 무성음 \[p] 계열에 속하는 한국어의 음운을 기록하기 위해서는 유기음*Asphiration* 과 방출음을 나타내기 위한 구별 기호(ʰ, ʼ)가 반드시 필요하다.
### Suprasegmentals
초분절음을 표시하는 초분절기호*Suprasegmental*는 자음과 모음에 적용되는 강세*Stress*, 성조*Tone*, 억양*Intonation* 등 단독으로 나타나지 않고 분절음*segment*에 실려 나타나는 말소리에 대한 기호다.
#### Tones and Word Accents
성조*Tone*와 단어 악센트*Word Accent/Word Stress*에 대한 기호는 소리의 높낮이가 유의미한 언어[^2]의 말소리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한다. 여기에 속하는 기호는 상대적인 높낮이를 나타내는 굴곡조*Contour*와 높낮이 자체를 나타내는 평탄조*Level*로 나눌 수 있다.
[^2]: 중국어와 베트남어가 대표적이며, 한국어도 경상도 사투리처럼 높낮이가 의미를 구별하는 경우가 존재한다.
##### Level
평탄조*Level*는 말소리의 높이 그 자체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하는데, 중국어 음성학에서 흔히 사용하는 오도제 성조표기법처럼 5개의 음가를 사용한다.
##### Contour
굴곡조*Contour*는 음가의 상대적인 흐름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한다. 분절음의 음높이가 일정하면 평탄조를 사용하고, 분절음의 음높이에 변화가 있다면 굴곡조를 사용한다.
### Other Symbols
여기에 속하는 기호들은 기존의 표로 명확히 분류하지 못하는 소리로, 다른 표에 넣기에는 조음 위치나 방법이 애매한 경우가 대다수인 덕분에 명칭이 더 복잡하다. (ex. 치경경구개 마찰음*Alveolo-palatal fricative*)
## 직접 소리내어 보는 것이 최고다
IPA를 잘 활용하면 외국어의 발음을 은연중에 모국어의 발음으로 치환하는 실수를 방지하고 보다 정확한 발음으로 외국어를 구사할 수 있다. 또한 모국어의 음운을 기반으로 외국어를 듣는다는 점까지 고려한다면, 외국인들이 한국어를 해석하는 방식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킬 수도 있다.
다만 음성 기호에 대한 설명을 글로만 읽는 것은 반쪽짜리 공부에 불과하다고 생각한다. 언어를 공부할 때는 반드시 실습이 동반되어야 한다. 특히 발성에 대해 이해하려면 발성 과정을 보여주는 영상이 훨씬 이해하기 쉽고 빠르며, 익힐 때도 직접 연습해보는 것이 가장 빠른 지름길이다.
---
## 참고 자료
+ 박종한. 중국어의 비밀. 서울: 궁리, 2012.
+ [IPA 한국어 번역본](https://ko.wikipedia.org/wiki/파일:IPA_Kiel_2019_full_kor_Korean.pdf)
+ [International Phonetic Alphabet - Wikipedia](https://en.wikipedia.org/wiki/International_Phonetic_Alphabet)
+ Barrie, M. (2022). *Introduction to Linguistics*.